-
4월 26일의 일기: 오베르 쉬르 우아즈(Auvers-sur-Oise)Vᵉ arrondissement de Paris/Avril 2022. 4. 26. 21:39
역시 마찬가지로 고흐의 그림에 등장하는 오베르 쉬르 우아즈의 시청사 # 늦은 오후 파리 북역으로 향했다. 원래는 당일치기로 아미앵(Amiens)이라도 다녀올까 생각했지만, 생각을 바꿔 파리 근교에 다녀오기로 했다. 랭스를 다녀올 때 동역을 이용했었고 아직까지 북역을 이용하는 건 처음인어서, RER B노선을 타고 북역을 도착한 뒤 조금 헤맸다. 북역은 복잡하기도 하고 더럽기도 하다. 지난 3개월 동안 RER B를 이용할 때도, 파리의 여러 구역들을 돌아다니면서도 위생에 크게 불편함을 느낀 적이 없었건만, 북역 앞 지린내는 절로 눈살을 찌푸리게 만든다.
고흐가 죽기 직전까지 살았던 집 고흐 공원 # RER H 노선을 타고 생투앙로몬(Saint-Ouen-l’Aumône)에서 내렸다. 오베르 쉬르 우아즈로 들어가려면 이곳에서 한 차례 열차를 갈아타야 한다. 맞은편 플랫폼으로 건너갔는데 울타리 아래로 도마뱀들이 여럿 보인다. 다른 도마뱀의 꼬리를 입에 물고 있는 녀석부터 뜨거운 철로 옆 자갈로 돌진하는 녀석까지 열차가 도착할 때까지 넋놓고 바라보았다.
정신분석학 박사라는 명패가 붙은 오묘한 느낌의 집 성당 가는 길 # 다른 유럽이라고 해봐야 스페인과 스위스를 가본 것이 전부여서 비교하긴 어렵지만, 프랑스는 열차가 참 잘 되어 있어서 믿고 타는 편이다. 프랑스에서 몇 안 되는 예측가능한 공공 서비스여서, 시간도 아주 정확하게 들어맞는 편이다. 전동차의 종류도 다양하고 제공되는 서비스도 다양한데다—물론 늘 2등석밖에 이용하고 못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 2등석 안에서도 맞춤형 서비스를 택할 수 있다—교통망 또한 촘촘히 갖춰져 있어서 매우 훌륭하다고 생각한다.
오베르 쉬르 우아즈 성당 오르세 미술관에서 보았던 성당의 실제 모습 그림속 오베르 쉬르 우아즈 교회 브르타뉴, 옥시타니 지방으로 가는 열차는 몽파르나스 역에서, 부르고뉴나 프로방스로 가는 열차는 리옹 역에서, 셩파뉴나 알자스-로렌으로 가는 열차는 동역에서, 오드 프랑스를 가는 열차나 유로스타는 북역에서, 노르망디를 가는 열차는 생라자르 역에서 탈 수 있도록 교통 역할이 고르게 분산되어 있다. 그밖에도 베르시 역이나 아우스터리츠 역을 통해서 빈틈없이 교통망이 메워진다. 특히 오늘 처음 갔던 북역은 유럽 안에서도 상당히 규모가 큰 축에 속하는 역으로, 유럽 한복판 거대한 교통망 안에 들어와 있는 느낌이 들었다.
파리에 있으면서도 우크라이나 이슈를 자세히 챙겨보질 못하고 있다 이 길을 올라가면 고흐의 작품 속 또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아르누보 양식이 두드러지는 파리의 메트로와 달리, SNCF에 의해 운영되는 철도 역사들은 디자인이 조금 다르다. 아무래도 장식적인 면보다는 실용적인 면이 더 강조될 수밖에 없는데, 오늘 파리 근교를 오가면서 들렀던 역에서도 느꼈던 거지만 플랫폼에 서 있는 가로등이 항상 눈에 들어온다. 나무처럼 위로 올라갈 수록 가느다란 형태를 띄는데 별다른 생각없이 보다가도 세련된 느낌을 받는다. 소재는 철이지만 직선으로 찍어내는 게 아니라, 주위 풍경이나 분위기와 각을 세우지 않도록 부드러운 형태를 고안해낸 세심함 같은 게 느껴진다.
일드프랑스가 맞나 싶을 정도로 광활한 밀밭이 펼쳐진다 이곳은 <까마귀가 있는 밀밭>의 배경이 되었던 곳으로 그림 속 세 갈래 길이 그대로 남아 있다 Champ de blé aux corbeaux/ 누렇게 익은 밀밭과는 차이가 있지만 길이 그대로 남아 있다 # 오베르 쉬르 우아즈에 도착한 다음 잠시 카페에서 한숨 돌렸다. 일 드 프랑스 지역이라곤 하지만 매우 작고 고즈넉한 마을이어서 문을 연 카페도 단 한 곳이었다. (다만 프랑에서 가보았던 카페 가운데 가장 맛이 별로였다) 바로 옆에는 고흐의 그림 속에 등장하는 시청과 그가 삶의 마지막에 70여 일간 지냈던 집도 볼 수 있다. 따로 오베르 성을 둘러보지는 않기로 하고 (발드루아르에서 이미 너무 많이 봤다), 오베르 쉬르 우아즈 성당으로 향했다. 오르세 미술관에 전시된 그림 그대로 생겼는데, 그림과 계절이 달라서 성당 앞 나무에 잎이 무성하다는 점만 다르다. 교회는 지금까지도 지역주민의 회합장소로 활발히 쓰이는 듯, 우크라이나 전쟁에 반대하여 평화를 촉구하는 그림이나 안내문구가 많이 보였다.
테오와 빈센트 반 고흐의 묘지 교회를 빠져나와 작은 오솔길을 따라가다보면 야트막한 언덕이 끝나는 지점에 르 셩 드 블레 오 코흐보(Le Champ de Blé aux Corbeaux)라는 곳이 나온다. 오늘 여정에서 가장 마음에 들었던 공간으로, 파리로부터 한 시간 반 정도 떨어진 근교라는 게 믿겨지지 않을 만큼 싱그러운 밀밭이 끊없이 펼쳐진다. 이곳은 고흐의 <까마귀가 있는 밀밭>의 배경이 된 곳으로, 고흐는 이곳을 화폭에 담으면서 극한의 고독함을 표현하고자 했다고 한다. 그가 스스로 삶을 마감한 곳이라기에는 너무나 평화롭고 아름다운 풍경이었다.
요새 프랑스 전역에는 유채꽃이 참 예쁘게 핀 것 같다 물론 등나무 꽃도.. 고흐와 그의 동생 테오의 묘지는 여기서 그리 멀지 않다. 들판 저 멀리로 노란 유채화 밭이 굵은 직선을 띠고 있어서 마을 외곽까지 쭉 걸어보았다. 몇 주 전 발드루아르를 갈 때도 열차 차창 너머로 보이던 유채꽃이 참 화사했던 기억이 있는데, 아직도 유채꽃은 한창인가보다. 새들이 지저귀는 소리가 귀가 따가울 정도로 사방에서 들려온다.
RER H 우리나라보다 인구는 약간 많지만 (6천 7백만 명), 국토는 5.5배가 더 크다보니 어딜 가도 전체적으로 쾌적한 느낌이 드는 걸 보면, 1인이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는 최적의 공간이라는 게 있는 것 같기도 하다. 수많은 유명인사들이 파리를 비롯해 프랑스를 활동무대로 삼았던 걸 보면 콕 집어 말하기는 어렵지만 프랑스만이 가진 매력이 있었을 것이다. 짧은 여정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은 생투앙로몬(Saint-Ouen-l’Aumône)이 아닌 발몽두아(Valmondois)에서 열차를 타고 파리 북역으로 되돌아왔다.
푸아소느리(Poissonerie) 역 가는 길에 'Vᵉ arrondissement de Paris > Avr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28일의 일기: 변덕(變德) (0) 2022.04.28 4월 27일의 일기: 빈틈 두기(le mou) (0) 2022.04.28 4월 25일의 일기: 꿈깨다(réveille-toi!) (0) 2022.04.25 4월 24일의 일기: 결선 투표 (0) 2022.04.24 4월 23일의 일기: 건축기행—파리 북부 (0) 2022.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