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6월 2일의 일기 (下) : 지붕에서 지붕으로Vᵉ arrondissement de Paris/Juin 2022. 7. 14. 17:32
# 늦은 오후에는 잠시 오페라 지역을 들렀다가 에펠탑에 갔다. 파리에는 무료로 시내를 조망할 수 있는 곳들이 몇 곳 있다. 예를 들면 갤러리 라파예트가 그렇고 아랍문화원 옥상도 있다. 이날 오페라 지역에서는 프렝탕 백화점 테라스를 찾았다. 이전에 바로 옆 갤러리 라파예트에서 시내 전망을 본 적이 있어서 크게 경치가 다를 리도 없건만, 갤러리 라파예트에서는 출입구역 제한으로 볼 수 없었던 몽마르트 언덕을 프렝탕 백화점에서라면 가까이서 볼 수 있을까 싶어서 다시 한 번 오페라 지역을 찾은 것이다. 하지만 프렝탕 백화점의 옥상은 갤러리 라파예트보다도 턱없이 협소했고, 옥상에서 아래층으로나 내려가야 레스토랑이나 바에서 경치를 감상하도록 되어 있어서 별 소득 없이 거리로 나왔다. 그리고 이날은 늘 팡테옹에서 뤽상..
-
6월 2일의 일기 (上): 로댕 이야기(l'histoire de Rodin)Vᵉ arrondissement de Paris/Juin 2022. 7. 13. 15:35
# 마지막 수업 일정이 끝난 뒤 뭘 해야 좋을지 몰라서, 파리를 여행하는 사람들이 꼭 한 번씩은 들르는 장소들을 찾고 있다. 어제는 그렇게 해서 베르사유 궁전을 갔고, 오늘은 루브르를 가기 위해 아침부터 움직였다. 문제는 루브르 박물관은 사전 예매가 필요하다는 걸 현장에 도착하고 나서 알았다는 점이다. 오후 티켓이라도 구해서 주변에서 시간을 보내는 방법도 있었지만, 루브르 피라미드 앞 인파를 보니 들어가고 싶다는 생각이 싹 사라졌다. 루브르나 베르사유 궁전처럼 유명 관광지의 인파를 보면 코로나 이전에는 방문객 인파가 어느 정도였을지 가늠이 되지 않는다. 결국 그냥 학교 기숙사로 되돌아 왔다. # 오전에는 늘 찾던 카페에서 시간을 보내고 오후에는 루브르 박물관을 대신해 로댕 미술관을 다녀왔다. 로댕 미술관..
-
6월 1일의 일기: 파리 근교 여행 I. 베르사유(Versailles)Vᵉ arrondissement de Paris/Juin 2022. 7. 12. 14:33
# 오후에 잠시 베르사유에 다녀왔다. 베르사유에 가기 위해서는 RER C 노선을 타야 한다. 한참 고민을 하다가 6월달 나비고 1개월권을 새로 끊었다. 학기가 생각보다 일찍 마무리되면서 귀국 일정을 새로 조율해야 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6월 동안 파리에 얼마나 체류하게 될지 알 수 없는 일이었다. 어쨌든 이리저리 재보다가 그냥 정기권을 끊는 편이 편할 거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베르사유 궁전에 도착했을 때는 오후 두 시쯤이 되어 있었다. 사실 나는 세 시간 쯤이면 베르사유 궁전을 충분히 둘러볼 거라 생각했는데, 이날 네 시간 반을 돌아보았는데도 후반부였던 트리아농 구역은 급하게 다녔다. # 베르사유 궁전 방문은 날짜를 고르는 게 쉽지 않았다. 보통 가장 추천하는 요일, 그러니까 사람이 가장 적은 요일은 ..
-
저만치 혼자서일상/book 2022. 7. 9. 23:27
바다의 시간은 상륙하지 않았다. 바다는 늘 처음이었고, 신생(新生)의 파도들이 다가오는 시간 속으로 출렁거렸다. 아침에, 고래의 대열은 빛이 퍼지는 수평선 쪽으로 나아갔다. 고래들이 물위로 치솟을 때 대가리에서 아침햇살이 튕겼고, 곤두박질쳐서 잠길 때 꼬리지느러미에서 빛의 가루들이 흩어졌다. —p. 10 달이 밝은 밤에는 빈 것이 가득차 있었고 안개가 낀 날에는 가득찬 것이 비어 있었다. —p. 30 사랑이라는 말은 이제 낯설고 거북해서 발음이 되어지지 않는다. 감정은 세월의 풍화를 견디지 못하고 세월은 다시 세월을 풍화시켜간다. —p. 129~130 우기에 열차들은 대가리로 빗줄기를 들이받아 안개를 일으켰다. 열차 지붕에서 물보라가 날렸다. 물보라는 집현전 건너편 언덕 사육신 묘지까지 끼쳐갔다. 열차는..
-
능소화 떨어지던 날주제 없는 글/Miscellaneous 2022. 7. 8. 00:27
근래 몇 년 중 가장 장마다운 장마를 보내고 있는 것 같다. 프랑스에서 도착한 이후로 일주일 가까이 비가 내리고 잠시 날이 개이는 듯 싶더니, 다시 비 예보가 꽉꽉 들어찼다. 이럴 줄 알았더라면 파리에 좀 더 오래 머무를 걸 그랬다는 괜한 아쉬움도 들지만, 몇 주 지나고 나면 파리야말로 서울보다 날씨가 더욱 더워질 것이다. 물론 서울의 찌는 듯한 더위와는 다르겠지만. 간밤에 내린 거센 비 때문에 여름 한철 대롱에 매달려 있어야 할 능소화가 우수수 떨어진 걸 오늘 아침 길을 걷다 발견했다. 낙화(落花)라고 하기에는 색깔과 모양이 퍽 소담스러웠다. 물기를 머금은 선명한 다홍빛에서 생(生)의 강렬함이 발산되는 것을 느낀다. 동시에 황망히 시들어가는 꽃송이들을 보면서 그러한 약동(躍動)이 맥없이 끊겨 버렸다는 ..
-
노르웨이의 숲 (ノルウェイの森/下)일상/book 2022. 7. 7. 15:27
「もし現実の世界にこういうデウス・エクス・マキナというのがあったとしたら、これは楽でしょうね。困ったな、身動き取れないなと思ったら神様が上からスルスルと降りてきて全部処理してくれるわけですからね。こんな楽なことはない。」 —p. 80 「だからね、時々俺は世間を見回して本当にうんざりするんだ。どうしてこいつらは努力というものをしないんだろう、努力もせずに不公平ばかり言うんだろうってね。」 僕はあきれて永沢さんの顔をながめた。「僕の目から見れば世の中の人々は随分あくせく身を粉にして働いてるような印象を受けるんですが、僕の見方は間違ってるんでしょうか。」 「あれは努力じゃなくてただの労働だ」と永沢さんは簡単に言った。「俺のいう努力というのはそういうのじゃない。努力というのはもっと主体的に目的的になされる物のことだ。」 —p. 100 「俺とワタナベには似ているところがあるんだよ」と永沢さん..
-
들어가는 작은 글—6월의 프롤로그Vᵉ arrondissement de Paris/Juin 2022. 7. 2. 03:33
5월 마지막날을 끝으로 학기가 끝난 뒤, 나는 스물 하고도 이틀을 프랑스에 더 머물렀다. 일주일 가량은 남프랑스를 둘러보기도 했고 사흘 정도는 야간버스를 타고 런던에 다녀왔으니, 파리에서 남은 일정을 마무리한 기간은 매우 짧다. 6월에 남긴 내 기록은 7~8일 쯤 어딘가에서 멈춰 버렸다. 일단 시작된 기록은 매듭지어져야겠지만, 지나간 기억들을 일일이 소환하는 건 번거로운 일이기도 하고, 정신 없이 흘러가버린 6월의 기록을 과연 ‘파리 5구’라는 테마 안에 묶어낼 수 있을지도 의문이었다. 그래서 날짜가 아닌 주제별로 기록을 뭉뚱그려 정리해 보려고도 했지만, 그러기에는 또 많은 이야깃거리가 있었다. 결국 원래 정리하던 대로 날짜별로 기록을 갈무리해보기로 했다. 다소 수고롭기는 하겠지만. 5월 31일 학기가 ..
-
5월 31일의 일기: 일단락(一段落)Vᵉ arrondissement de Paris/Mai 2022. 5. 31. 21:09
# 오늘도 도서관에 머무르는 일과였고, 중간에는 잠시 인터넷 연결 문제로 사무실을 방문했다. 원래는 어제 들렀다가 약속을 잡는 게 좋을 것 같다고 해서 오늘 오후 시간을 잡았었다. 대충 예상은 했지만 일부러 조금 늦게 도착했는데도 담당자는 나타나지 않았고, 뒤늦게 도착한 담당자는 또 다른 동료가 없다면 도와줄 수 없을 것 같다고 고개를 저었다. 인터넷 연결이 시급했던 건 아닌데 대응하는 걸 보아하니 한숨부터 나온다. 분업이 워낙 철저하다 해야 할지, 어제 약속 잡는 걸 도와줬던 스태프는 옆에서 세월 좋게 나긋나긋 현 상황을 설명하고만 있다. 결과적으로는 이 약속 상황과는 전혀 상관이 없었던 것으로 보이는 다른 젊은 직원의 도움 덕분에 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 오늘 마지막 과제 제출을 끝으로..